모죽지랑가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5 15:39
본문
Download : 모죽지랑가 연구.hwp
그러나 이것이 곧 죽지랑의 사후라고 단정하기는 힘들다. ‘안정궐방초 득오곡모랑이작가’로 끊은 경우는 그 의미가 ‘그 나라의 처음(初, 根本, 始作)을 안정하게 하였다’라 하는데, 상당히 어색한 문장이 된다 왜냐하면 ‘初’를 명사로 한 ‘처음’(初, 根本, 始作)을 목적어로 하는 동사는 ‘始’또는 ‘創健’과 같은 것들이고, ‘安定’이란 동사의 목적어로는 혼란이나 소요의 의미를 가진 명사이기 때문일것이다 이것들에 비해 ‘이전에’의 해석은 일단‘初’의 의미 안에 있어 긍정적이다. 왜냐하면, 이‘以前’은 관련설화의 내용에서 죽음을 …(To be continued )
다.






Download : 모죽지랑가 연구.hwp( 90 )
레포트/기타
모죽지랑가의 연구에 있어서 여러 선학들의 연구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나름대로의 입장을 요약한 자료(data)입니다.
모죽지랑가연구1
모죽지랑가의 연구에 있어서 여러 선학들의 연구를 객관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나름대로의 입장을 정리한 자료입니다.모죽지랑가연구1 , 모죽지랑가 연구기타레포트 ,
,기타,레포트
순서
모죽지랑가 연구
설명
- 차 례 -
Ⅰ. 서론
Ⅱ. 작품 연구
1. 모죽지랑가 해독
2. 향가해석상의 쟁점
3. 배경설화 : 「삼국유사」권2 효소왕대 죽지랑
Ⅲ. 창작시기
1. 창작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시적 문맥
2. ‘初’의 의미와 관련 설화
3. 창작시기에 따른 작품 성격
Ⅳ. 인물 연구 및 사회상
1. 인물 연구
2. 죽지랑이 당한 수모를 통해 살펴본 사회상
3. 삼국유사 수록 요인
Ⅴ.결론
“과거부터 전래해 내려온 것이란 말이다”의 주장은 ‘初’의 단독적 의미로는 가능하지만, 주어진 문맥에서는 ‘과거부터 전래해 내려온(初) 득오곡이 죽지랑을 흠모하여 노래를 지었다’와 같은 이상한 의미가 되어, 부적절한 ‘初’의 해석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