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 속에 나타난 도덕성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8:27
본문
Download : 동양철학 속에 나타난 도덕성의 문제.hwp
자유주의에서 강조되는 바는 개인이 국가 권력 혹은 타인의 부당한 강압이나 권력에서 벗어나, 자신의 행위를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상태이며 한 개인이 타인의 자유나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 한 어떤 간섭도 할 수 없다는 원칙에 근거하고 있다아11)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사회는 이렇게 외부의 간섭을 당하지 않고 개인의 능력에 따라 자유방임적 시장 경제 체제안에서 얼마든지 부를 축적할 수 있는 체제이다. `사람의 됨됨이`는 사회적 관계에서 매우 중요시 되며, 공적인 위계와 상관없이 타인의 자발적인 공감, 설득, 복종을 얻어낼 수 있다아 특히 사회 지도층일수록 도덕성에 대한 요구가 높다는 것을 들 수 있다아
그러나 유가 공동…(skip)
,인문사회,레포트
다. 인격을 망각한 자본주의의 실행은 건전한 사회 정신을 망각하게 하여 모리배, 협잡꾼, 사기배, 탐관오리, 수뢰잡배가 양산되는 것이다. 이는 아직도 한국 사회에는 유가 공동체가 조금이나마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남아 있기 때문일것이다 비록 권력과 부 명예가 없더라도 도덕성을 갖춘 사람이라면 여전히 존경받는다.
이렇게 권력과 부와 같은 기적 지위만이 최고인 시대가 되어 버린 현실이지만 여전히 우리 사회에는 리적 지위 즉 덕의 차원에 따른 지위가 정당화되는 경우를 볼 수 있다아 그것은 앞서 살펴보았던 왕진지와 같은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 증명된다된다. 심지어 조선 성리학 시대에는 도덕의 힘이 강했던 시대였다고 할 수 있다아
반면에 오늘날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사회에서 여전히 이러한 도덕성은 유효할 수 있는지 의구심이 들 때가 많다.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동양철학 속에 나타난 도덕성의 문제.hwp( 65 )
초기 유가가 주장하는 지배층의 도덕성과 조선 성리학 시대에 강조되는 리적 지위와 사회적 지위의 일치는 모두 이상적인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 필... , 동양철학 속에 나타난 도덕성의 문제인문사회레포트 ,
동양철학 속에 나타난 도덕성의 문제
설명






초기 유가가 주장하는 지배층의 도덕성과 조선 성리학 시대에 강조되는 리적 지위와 사회적 지위의 일치는 모두 이상적인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 필...
순서
초기 유가가 주장하는 지배층의 도덕성과 조선 성리학 시대에 강조되는 리적 지위와 사회적 지위의 일치는 모두 이상적인 사회의 실현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건이었다. 하지만 자본이 자유의 concept(개념)과 결합되면서 개인의 인격이 완전히 잠식되어 버린다.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면서 사회를 이끄는 실질 주역으로서 기본적으로 도덕적 품성의 바탕위에 실질적인 정치를 하여 민중에게 모범이 되어야 했던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