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 구상력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15:57
본문
Download :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 구상력의 문제.hwp
이 소론이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의 구상력(Einbildungskraft)의 문제다.
첫째 피히테의 초기 저작들 `Recension des Aenesidemus`(1792), Ueber den Begriff der Wissenschaftslehre(1794), Grundlage der gesamten Wissen- schaftslehre(1794/95) 그리고 Grundriss des Eigentuemlichen der Wissen- schaftslehre(1795)가 잘 보여 주듯이 초기 피히테는 `구상력`(Einbildungskraft)을 비롯해서 직관(Anschauung) `자아`(Ich), `체계`(System), `종합`(Synthesis) 등등을 비롯해서 칸트 선험 철학적인 여러 중요한 定義(정이) 들을 칸트에게서 직접 차용해서 사용하고 있다 그 뿐 아니라 피히테는 그의 `철학하는 것` 자체를 칸트에게서 본받았고 또 그것을 독자적으로 계승…(To be continued )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 구상력의 문제
설명
이 소론이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의 구상력(Einbildungskraft)의 문제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이 소론은...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 구상력의 문제.hwp( 86 )
이 소론이 제기하고자 하는 문제는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의 구상력(Einbildungskraft)의 문제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이 소론은 {순수 이성 비판}(1781,1787)을 중심으로한 칸트의 구상력과 초기 {인식론}Grundlage der gesamten Wissenschaftslehre (1794/95)을 중심으로 나타난 피히테의 구상력을 서로 비교하는 관점에서 논의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문제 제기의 뜻은 아리스토텔레스이래 현대의 하이데거, 마르쿠제 등에 이르기까지 구상력은 비교적 다양하게 논란되어 왔지만, 칸트와 피히테에 있어서 처럼 인식의 성립과 그 정초 문제에 체계적으로 관여된 경우는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이 소론은... ,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 구상력의 문제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런데 이와 같이 칸트와 초기 피히테에 있어서의 구상력 - 인식 정초에 관여된 - 을 서로 비교하는 관점에서 문제삼을 때, 각별히 고려되어야 할 점은 주지하는 데로 피히테가 칸트에게 받은 影響의 문제일 것이다. 바로 이런 점을 유념하면서, 이 문제의 주제적인 논의에 앞서서 그의 문제학적 배경이라는 의미로 칸트와 피히테 양자의 기초적인 관계를 아래와 같이 정리(整理)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