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관리론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공공관리론 공통]신공공관리론의 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1 14:52
본문
Download : 신공공관리론[2].hwp
그럼 아래에서는 신공공관리론의 의의 및 배경, 주요내용, government 혁신 방향, 한계에 대상으로하여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적용example(사례) 에 대상으로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적용example(사례)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資料] 강신택(1999). 한국행정에 있어 행정과 경영. 1999년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1. 의의
김태룡(2000). 행정학의 신패러다임으로서 신공공관리모형의 적실성에 관한 연구. 『한국 행정학보』34(1).
김태룡(1999). 한국과 미국의 행정개혁에 대한 비교. 『한국행정학보』33(1)
4. 경쟁 및 개방 고객서비스 지향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신공공관리, 신공공관리론, 신공공관리론의 문제점, 신공공관리론의 특징, 공공관리론
6. 성과중심의 행정
2. 시장지향적인 government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행정학과 4학년 공공관리론 공통 참고資料입니다
4. 동기부여의 편협성
- 방통대 2010-1학기 행정학과 4학년 공공관리론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강신택(1999). 한국행정에 있어 행정과 경영. 1999년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김광웅(1998). 김대중정부 초기 정부조직개편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행정학보』32(2) 김광웅(1999). 제2차 정부개혁의 모순과 한계. 1999년 한국행정학회 특별세미나 논문집. 김태룡(1999). 한국과 미국의 행정개혁에 대한 비교. 『한국행정학보』33(1) 김태룡(2000). 행정학의 신패러다임으로서 신공공관리모형의 적실성에 관한 연구. 『한국 행정학보』34(1). 남궁근․황성돈(2001). 김대중 정부 행정개혁 3년 평가. 『정부개혁과 행정학 연구』 2001 년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박동서(1998). 행정개혁의 연구와 개혁-궤도수정. 『한국행정학보』32(1). 박세정(2000). 경영의 논리: 행정개혁의 이념으로서의 기여와 한계. 2000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배용수(2000). 신관리주의의 한국적 적실성. 『한국행정학보』34(2). 서순복(1999). 신공공관리에 관한 보완
Ⅴ 신공공관리론의 문제가되는점
남궁근․황성돈(2001). 김대중 政府(정부) 행정개혁 3년 평가. 『政府(정부)개혁과 행정학 연구』 2001 년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Ⅰ 서
1980년대 서구 자본주의 사회는 우파의 보수주의 통치 패러다임의 시대로서 `작지만 강 하고 효율적인 government `를 지향하는 행정개혁을 시도하였다. 대표적 학자로는 Osborne과 Gaebler(`government 재창조`/1992) 등이 있다아
2. 향후 變化방향
2. 공행definition 특수성 무시
2. 성과중심의 행정체제로의 전환
1. 정책과 집행(관리)의 분리문제
Ⅳ 신공공관리론의 government 혁신 방향
Ⅱ 신공공관리론의 의의 및 등장배경
3. 권한위임과 융통성 부여
5. government 규제의 개혁
서순복(1999). 신공공관리에 관한 보완
1. 의의
3. 소비자관의 한계
김광웅(1998). 김대중政府(정부) 초기 政府(정부)조직개편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행정학보』32(2)
김광웅(1999). 제2차 政府(정부)개혁의 모순과 한계. 1999년 한국행정학회 특별세미나 논문집.
2. 등장배경
배용수(2000). 신관리주의의 한국적 적실성. 『한국행정학보』34(2).
Ⅰ 서
Ⅱ 신공공관리론의 의의 및 등장배경
박동서(1998). 행정개혁의 연구와 개혁-궤도수정. 『한국행정학보』32(1).
6. government 의 역할
[공공관리론 ]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2010-1학기 공공관리론 공통]신공공관리론의 주요 특징과 drawback(걸점)을 설명(說明)하고, 동 理論(이론)이 어떤 방향으로 change(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한 본인의 견해를 제시해 보시오.
다. 이러한 행정개혁에서 등장한 신공공관리론은 government 실패를 지적하고 그 대응책을 제시한 공공선택theory , 주인대리인이 론, 거래비용 경제학 등을 그 theory 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아 실 예로서 영국의 1979년에 대처수상에 의해 처음 된 대처주의(Thatcherism), 연방government 의 기능감소를 주창하는 미국 의 레이거노믹스(통화주의, 신연방주의), 클린턴 행government 의 government 재창조와 뉴질랜드, 캐나 다의 government 혁신모형 등이 있다아 우리나라의 경우 김대중 대통령의 국민의 government 에서의 공 공부문개혁이 신공공관리론에 의한 개혁이었다.
![신공공관리론[2]-1624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8B%A0%EA%B3%B5%EA%B3%B5%EA%B4%80%EB%A6%AC%EB%A1%A0%5B2%5D-1624_01.gif)
![신공공관리론[2]-1624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8B%A0%EA%B3%B5%EA%B3%B5%EA%B4%80%EB%A6%AC%EB%A1%A0%5B2%5D-1624_02_.gif)
![신공공관리론[2]-1624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8B%A0%EA%B3%B5%EA%B3%B5%EA%B4%80%EB%A6%AC%EB%A1%A0%5B2%5D-1624_03_.gif)
![신공공관리론[2]-1624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8B%A0%EA%B3%B5%EA%B3%B5%EA%B4%80%EB%A6%AC%EB%A1%A0%5B2%5D-1624_04_.gif)
![신공공관리론[2]-1624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3/%EC%8B%A0%EA%B3%B5%EA%B3%B5%EA%B4%80%EB%A6%AC%EB%A1%A0%5B2%5D-1624_05_.gif)
- 다양한 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5. 정보화된 government (전자government )
Ⅲ 신공공관리론의 주요특징
설명
4. 기업형 government
3. 고객지향적인 government
1. 작고 효율적인 government (소government 주의)
Ⅶ 결
2. 등장배경
1. government 조직 인력의 감축
지난 20여년간 행정개혁을 주도해온 행정학의 새로운 경향은 `신공공관리론(New Public Management)`으로 요약될 수 있다아 신공공관리론은 전통적인 행정관리 방식에 반기를 든 theory 으로서, ① 시장주의(작은government , 민영화)와 ② 신관리주의로 크게 2개의 패러다임으로 살펴볼 수 있다아 즉 그동안 서구의 복지국가들이 직면했던 공공재definition 구조적 위기에 의한 비효율, 각종 문제의 계층적인 해결을 위한 처방 등은 오히려 많은 문제가되는점 (government 실패, government 에 대한 국민의 불신)을 초래하였고, 이의 해결을 위해서 government 는 인사나 예산 등의 측면에서 내부통제(계층적 통제)를 대폭 완화하여 일선 관리자에게 과감하게 재량을 부여하고, 관리자가 책임을 지고 성과를 향상시키고 고객을 만족시키도록 행정관리하는 theory 인 신공공관리론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박세정(2000). 경영의 논리: 행정개혁의 이념으로서의 기여와 한계. 2000년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 공무원이 사기저하 및 행definition 공동화 가능성
순서
Ⅵ 우리나라에서의 신공공관리론 變化방향
Download : 신공공관리론[2].hwp( 19 )
신공공관리는 행definition 본질과 관련되는 행정적 측면의 concept(개념)으로서 신관리주의에 시장주 의를 추가하여 경쟁원리와 고객주의를 공공부문에 도입하고, 거기에다 참여주의 및 공동 체주의를 합한 것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