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에너지 책략 로드맵 2011]③풍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7:17
본문
Download : 110628110146_.jpg
레포트 > 기타
또 풍황 자원을 장기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실무형 교육센터를 만드는 한편 아태지역에 적합한 기술기준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가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현 점유율이 0.5% 정도임을 감안하면 야심찬 계획이지만, 기술력 제고와 트랙레코드(실적) 축적 등이 제대로 이뤄진다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分析(분석)이다.
유선일기자 ysi@etnews.co.kr





꾸준한 노력이 이어진다면 이를 통해 일자리 창출은 2015년 4만7740개, 2030년 17만900개가 가능할 것으로 展望했다.
또 구성품·부품 국산화 및 수직계열화로 안정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인증·성능평가기관을 육성한다는 목표다. 이에 따라 개발 제품의 인증 및 초기 상용화 실적 확보에 국가적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그린에너지 책략 로드맵 2011]③풍력
중장기적으로는 육상풍력의 경우 2~3㎿급 제품의 경쟁력 고도화로 수출 시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그린에너지 전략 로드맵 2011]③풍력
government 는 풍력 부문 그린에너지 strategy 로드맵 2011을 통해 2030년 세계시장 점유율을 20%까지 늘린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그린에너지 책략 로드맵 2011]③풍력
이에 따라 government 는 단기적으로는 육상풍력의 경우 국내에서 개발한 2~3㎿급, 해상풍력은 3㎿급 풍력발전시스템의 경쟁력을 강화해 수입을 대체하고 수출상품으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다.
순서
이밖에 풍력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풍력단지 개발을 위한 관계법령 현실화 및 재개정, 국산화 풍력발전기 구매촉진을 위한 법률개정 등이 필요하다고 分析(분석)했다.
특히 government 주도의 실증 및 보급시범단지 건설을 통해 상용화 실적을 확보한 후 시장에 진입하고 한국전력 및 발전자회사 등과 함께 해외시장에 진출한다는 목표다. 현 73% 수준인 국산화율과 65%인 기술수준을 모두 2015년 80%까지 높이고, 2030년에는 10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Download : 110628110146_.jpg( 40 )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실증을 통한 성능시험 및 국제인증 확보, 초기 상용화 실적 확보가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그린에너지 전략 로드맵 2011]③풍력
그린에너지 strategy 로드맵 2011 풍력분과위원장을 맡은 김만응 한국선급 에너지환경사업단장은 “시스템과 부품 등에 초점을 맞췄던 지난 로드맵에서 더 나아가 운송·설치·유지보수·인증까지 다뤘다는 게 이번 로드맵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설명
비전은 ‘국산 풍력 세계 최고 기술력 확보를 통한 세계시장 진출’로 정했다. 또 국산 시스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시스템 외에도 주요 구성품의 국산화율을 높이는 한편, 원가절감과 신뢰도 및 품질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필요하다고 分析(분석)했다. 성능평가를 위한 실증단지를 확보하고 주요 부품 성능·신뢰성 평가 시스템도 구축한다. 수출은 2015년과 2030년에 각각 8조2500억원과 6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으며, 이산화탄소(CO₂) 감축량도 117만5000톤 및 594만4000톤에 이를 것으로 分析(분석)했다. 해상풍력은 경제성 있는 5~10㎿급 시스템을 개발해 시장에 대응하고, 부유식 해상기술까지 개발한다는 계획이다.